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소기업 장단점

by JayKo_Osong 2023. 11. 22.
반응형

 

목차

1. 개요

2. 가족같은 분위기

3. 진급

4. 복리후생

5. 연차

6. 비용

7. 업무속도

 

 

1. 개요

저는 직업특성 상 중소기업만 다녀봤고 거래처로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자영업자 등 다양한 규모의 업체들을 상대하고 있습니다. 제가 다닌 중소기업의 규모로는 직원 2명, 100명, 300명 정도의 회사였는데, 대기업과의 차이는 단연코 연봉과 복리후생입니다. 굴지의 대기업의 경우 연봉이 많고, 연차소진 제도가 있어 반 강제적으로 연차를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그렇다고 중소기업이 꼭 나쁘지만은 않습니다. 이하에서는 중소기업을 15년 정도 다니면서 느낀 장단점들에 대하여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2. 가족같은 분위기

중소기업의 분위기 역시 구성원들이 만들고 있습니다. 질량보존의 법칙처럼 또라이는 항상 있습니다. 없다면 제가 또라이라는 또라이 질량 보존의 법칙이 분명 존재합니다. 리더만 괜찮다면 이러한 분들과도 잘 지낼 수 있습니다. 소소하게 회식하는 분위기도 좋으며, 부서간 벽이 높지 않아 두루두루 좋게 지낼 수 있습니다. 특히나 술자리 때 성격 나오는 분들이 가끔 계신데, 시간이 지날수록 회식 문화가 없어지는 사회적 추세라 요즘은 큰 사건사고를 본 기억은 없습니다.

 

3. 진급

사회 초년생 시절 너 내일부터 과장해라 라는 말을 직접 들어본 적 있습니다. 명함도 다음날 과장으로 팠구요. 입사 2달째 되던날 왜 과장급이 없냐는 고객사 질문에 맞선 저희 사장의 대응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기뻐하지 마십시오. 중소기업에서는 진급했다고 하여 월급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월급이 올라가지 않더라도 진급에 민간하신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직급은 자존심 문제이기도 하고, 내 직급에 따라 고객사에서 나를 생각하는 눈높이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4. 복리후생

복리후생은 중소기업 마다 다들 다릅니다. 명절이나 휴가 때 조그만한 선물이나 보너스를 주면 괜찮은 중소기업 입니다. 사장이 직원들을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회사니까요. 굴지의 대기업에서 성과에 따라 연봉의 50%를 성과급으로 준다는 기사를 보면 남의 나라 이야기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명절에 스팸 세트 하나에 녹아지기도 합니다. 결국 회사 성장과 연계되는게 복리후생이긴 한데, 회식 때 많이 먹는 걸로 푸는 직원들도 있습니다.

 

 

5. 연차

연차나 휴가는 거래처 담당자의 연차나 휴가에 맞춰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이야 대기업의 경우도 휴가를 자유롭게 쓰지만, 예전에는 7말 8초에 대기업 공장이 단체 휴가로 멈추면 그 때 맞춰 휴가를 쓰기도 했습니다. 가장 성수기 때 휴가비용을 지불하면서요. 법정 연차 일수를 다 써본 기억은 없습니다. 연차 비사용 시 이를 수당으로 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봅니다. 

 

6. 비용

비용의 경우 통제를 많이 당하는 편입니다. 대기업의 사내 까페운영, 구내 식당은 부러움의 대상입니다. 각티슈를 못쓰게 한다던지, 비품 구매에 제한을 두기도 합니다. 모나미 볼펜 통일!! 자리에 쓰레기통 지급 대신 A4용지 박스를 쓰레기통으로 사용, 믹스커피 달에 1통만 사용하기 등...이러한 제한사항은 사장의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이러한 제한사항을 두면서 허리 조심하라고 전 직원에게 씨O즈 의자를 지급하는 중소기업도 있답니다.

 

7. 업무속도

중소기업의 경우 업무적인 속도가 빠른 경우가 많습니다. 의사결정에 있어 결재라인이 많지도 않고 부서간 벽이 없어 의사소통이 원활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특정 부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한 사람이 구매, 영업, 경영지원, 회계처리를 모두 도맡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정한 멀티플레이어가 되는 것이지요.

 

 

8. 마치며

가끔 대기업으로 이직하면 어떨까 하는 마음도 들긴 합니다만, 그들의 생활을 보면 의외로 통제사항이 많고 단조로운 생활을 하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특히나 보고를 위해 회사를 다니는게 아닌가 할 정도로 보고를 중요시 생각하더군요. 또한 부서간 벽이 높아 뭘 하나 하려고 하면 서로 핑퐁치기에 모르쇠로 방관하는 경우도 종종 보아 왔습니다. 대기업 역시 대기업만의 고충이 존재합니다.

 

전국의 수많은 중소기업 직장인분들 화이팅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