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좋은 남편 되기

by JayKo_Osong 2023. 11. 16.
반응형

1. 개요

2. 관심

3. 가사 분담하기

4. 처가집 챙기기

5. 인생관

 

1. 개요

저는 참 못난 남편 입니다. 가부장적인 측면이 있고, 그리 가정적인 남편은 아니라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가화만사성!, 사회적 성공을 이루었다고 해도 가정을 지키지 못한다면 성공한 인생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찾지 못했지만, 화목한 가정의 첫 단추는 좋은 남편부터 되어야 하기에, 좋은 남편이 되기 위한 생각들을 적어 봅니다.

 

2. 관심

좋은 남편이 되기 위해서는 아내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은 관심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아내의 말투, 건강상태, 옷차림, 자녀들에 대한 접근 방식, 가사에 대한 업무량 들에 대하여 항상 관심을 가져야 겠습니다. 벽을 두고 지내지 않아야 겠습니다. 말을 많이 들어주고, 공감만 해 주어도 될 것을....그러지 못한 저를 반성하게 되네요. 여자와의 대화는 결론이 아니라 과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결론이 뭔데? 라고 반문하는 저를 반성하며.....노력을 많이 해야 겠습니다.

 

3. 가사 분담하기

내가 맡기로한 가사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해야 합니다. 청소, 빨래 개기, 쓰레기 버리기 등을 주로 남편이 담당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뭐든 일상생활 과정에서는 10분도 채 걸리지 않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컴퓨터 앞에서 몇 시간 가는줄 모르고 퍼질러져서 즐기지만, 할 것 하고 놀면 누가 뭐라고 하겠습니까. 내가 많은 가사분담에 대해서는 꼭 하고, 더 잘해서 확실한 믿음을 주는게 좋겠습니다. 

 

4. 처가집 챙기기

우리집 행사를 챙기는 것보다, 말이라도 처가집을 먼저 챙기는게 어떨까요. 그러면 아내가 우리집 행사를 더 적극적으로 챙기려 하지 않을까요. 장인어른, 장모님, 아내의 자매 형제 기념일을 꼭 스마트폰에 저장해 두고 먼저 챙기는게 좋겠습니다. 좋은 음식 있으면 처가에 먼저 나누려 하고, 장인어른, 장모님 건강 먼저 걱정하고....그래야 겠습니다. 무엇보다 아내가 정말로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겠습니다. 생각해보니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명확한데, 아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명확하지가 않네요. 여전히 저는 부끄러운 남편입니다.

 

5. 인생관

결혼 생활이란게 참 어렵습니다. 특히나 같은 종교라던지 취미가 같지 않으면 늘 나와는 다른 사람과 산다는 생각이 들 뿐일 것입니다. 아이가 생기면 아이 때문에 같이 산다고들 합니다. 저 역시 그 벽을 깨기가 참으로 어렵습니다. 호감을 가진 사람을 만나 사랑을 알게 되고, 사랑에 대한 확신이 있어 결혼을 하지만, "생활" 을 공유하는 순간, 로맨틱한 말들은 사라져 가버리고, 나만 생각하게 되는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마주치게 됩니다.

 

결혼생활도 사회생활과 동일하게 생각한다면 오히려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회생활을 하는 과정에서는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리는 경우가 많지만, 결혼생활에서는 오히려 그렇지 못하게 됩니다. 오히려, 나와 결혼한 사람은 왜 내 입장을 몰라줄까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하게 되어 갈등을 조장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라고 합니다. 중요한게, 결혼생활이던 사회생활이던, 그 감정을 최대한 자제 하는게 좋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 같습니다. 마치 해탈한 사람처럼, 어떠한 상황이 와도 평정심을 유지한다면, 나쁜관계는 형성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냥....와이프가 뭐 시키면 군말말고 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그게 맞던 틀리던, 일단 시키는 거 하고, 그 다음에 조심스레 반문을 제기하는게 인생 굴곡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것 같네요. 

 

인생의 고민인 좋은 남편 되기, 좋은 아빠 되기, 좋은 직장 상사 되기, 좋은 직장 후배 되기....결국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고민을 많이 합니다. 딱히 빠져 있는 종교도 없고, 어떠한 강박관념에서 생각하는게 아닌, 모든게 처음이고 서툰 사람으로써, 맡은 역할을 잘 해내는 것. 나란 사람을 사람들이 기억할 때, 행복한 삶을 살기위해 노력했던 좋은 녀석이었다 라고만 들어도 최선을 다한 사람이 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